한강 - 『소년이 온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그 비극 속에 던져진 인물들의 상처와 기억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의 기록을 넘어, 개인의 고통과 집단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얽히고 서로를 억누르는지를 섬세하게 드러낸다.
작품의 주인공 동호는 평범한 소년이지만, 친구의 죽음을 목격하고 잔혹한 현실에 맞서려는 과정에서 그 자신이 비극의 중심에 서게 된다. 작가는 동호의 시선을 통해 당시 상황을 날것 그대로 보여주며, 국가의 폭력이 어린 생명을 어떻게 짓밟았는지를 적나라하게 묘사한다. 이때의 묵직한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을 넘어, 마치 그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이 소설은 각기 다른 시점을 가진 여러 인물들의 목소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호의 친구들, 그의 어머니, 그리고 광주를 떠난 이들까지, 각 인물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광주의 상처를 끌어안고 살아간다. 이러한 다층적인 서사는 당시 사건이 한 개인의 경험에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 전반에 남긴 깊은 상흔임을 드러낸다. 또한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의 내면까지 들여다보며 폭력이 남긴 죄책감과 후유증을 다루는 점에서, 인간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한강의 문체는 서정적이면서도 간결하여 고통스러운 장면조차 잔잔하고 무심하게 흐른다. 이러한 문체는 독자로 하여금 사건의 잔인함을 직접적으로 느끼게 하기보다, 그 고통이 일상에 스며드는 방식을 체감하게 만든다. 또한 죽음과 상실에 대한 작가의 시선은 처연하면서도 따뜻하여, 폭력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소년이 온다』는 과거의 비극을 기억하고 기록함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성찰하게 만든다. 역사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마주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치유와 화해의 시작임을 이 소설은 조용히, 그러나 강력하게 일깨우고 있다.
Copyright. 2024. T_ss, 무단 전제 및 상업, 비상업적 용도를 포함한 본문 내용 개제 금지.